분류 전체보기 thumbnail list [네트워크] 16. 패킷트레이서 기초 실습 패킷트레이서로 배우는 CCNA (01강) (youtube.com) 이 게시글은 계영수 강사님의 패킷트레이서로 배우는 CCNA를 따라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후니 네트워크 교재에서 (패킷트레이서 or GNS3을 이용한) 실습 내용이 계속 등장하는데 한 번 따라하고 복습을 안했더니 어느 시점부터 따라가기 어려워졌다. 이왕 공부하는 거 제대로 해보자는 마음으로 계영수 강사님의 기초 강의를 차근차근 따라해보며 그 내용을 기록해보겠다. 이번 강의에서의 목표는 위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다. 먼저 ISR4321 라우터 두 개를 설치하고 서로 연결해주었다. 같은 두 장비를 연결할 때는 Cross (점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국룰인데 (서로 다른 장비는 Staright로 연), 최신 장비일수록 Straigh.. [네트워크] 15. CDP, Telnet, 핑과 트레이스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CDP (Cisco Discovery Protocol) 이름 그대로 시스코 장비를 찾아내는 프로토콜이다. 다만 해당 시스코 장비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시스코 장비만을 찾아낼 수 있다. 한 다리 건너서 연결된 시스코 장비는 찾아낼 수 없다. CDP는 Data link layer의 프로토콜이다. ➜ Network layer에서 TCP/IP, IPX, AppleTalk 중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하냐에 관계 없이 전부 CDP를 적용할 수 있다. (상위 계층에 제약받지 않으므로) 따라서 장비들에 IP 주소를 세팅하기 전에도 CDP는 사용 가능하다. 상대 시스코 장비의 IP 주소나 기타 정보를 모를 때 이를 알기 위해 사용하면 매.. [네트워크] 14. 스태틱 라우팅 설정, 디폴트 라우트, 버전별 라우터 명령어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스태틱 라우팅의 개념에 대해서는 이전에 소개했었다. 라우팅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사람이 경로를 직접 설정해주는 Static, 라우터가 자동으로 경로를 찾아가는 Dynamic이다. Static 방식은 사용자가 매번 최적경로를 직접 설정해줘야 한다는 큰 단점이 있기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Stub 네트워크처럼 오직 하나의 경로만을 통해서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Static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적경로가 항상 하나로 정해져 있기 때문) Stub network의 대표적인 예시로 PC방이 있다. 일반적으로 PC방은 라우터 한 대를 이용하여 (전용선도 하나만 쓴다.) 외부 .. [네트워크] 13. 라우터 명령어, 네트워크 설정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이 글부터 한동안은 Router를 패킷 트레이서에서 세팅하고 조작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글로 된 개념보다 패킷 트레이서를 이용해 학습하는 게 훨씬 재밌는 것 같다. 아자자 Router 셋업모드 라우터를 맨 처음 구입하면 셋업(set up)모드로 들어간다. 셋업 모드로 들어가서 세팅을 진행하게 되는 것. 라우터를 처음 키면 위처럼 Would you like to enter the initial configuration dialog? 라는 문장이 출력된다. 이때 yes를 치면 셋업모드로 들어가서 라우터가 사용자에게 이것저것 세팅에 관한 질문을 던진다. 사실 셋업모드 걍 스킵하고 나중에 설정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셋업.. [네트워크] 12. 라우터 내부, 라우터 메모리, 기본 명령어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라우터 내부 뜯어보기 라우터의 동작을 직접 살펴보기 전에, 라우터의 내부에 어떤것들이 있는지 그 기초부터 자세히 들여다보기로 한다. 여기서는 Cisco 2500 라우터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2, 3, 4 번째에 있는 DB-15, DB-60은 각각 Ethernet Interface, Serial Interface를 나타낸다. RJ-45는 각각 콘솔 포트와 Auxiliary 포트를 나타낸다. 포트 이외에 라우터에는 RAM, NVRAM, Flash Memory, ROM이 장착되어 있다. ➜ Axuiliary port는 백업 라인을 구축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거의 사용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그냥 이런게 있다고만 알아두자... [네트워크] 11. 라우터 Router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라우터가 뭘까? 여기까지 왔으면 드디어 라우터를 배울 차례이다. 네트워크 관리자가 가장 자주 다루는 장비가 바로 라우터이다. 라우터는 네트워크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며, Broadcast domain을 나눠주는 장비로 네트워크 업계에서 종사한다면 가장 많이 다루게 되는 장비이다. 라우터는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길을 안내해주는 역할을 한다. 라우터가 자동으로 이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 관리자가 직접 라우터에 설정을 해줘야 효율적인 길을 찾을 수 있다. IPX, DECENT, AppleTalk등 여러 라우팅 프로토콜이 존재하지만 여기서는 IP 라우팅을 위주로 살펴본다... [네트워크] 10. VLAN 패킷 트레이서 실습 2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VLAN (Virtual LAN) 패킷 트레이서 실습 2 목표 스위치 포트 Fa0/1은 트렁크 (트렁크 모드는 IEEE 802.1Q) 라우터의 Fa0/0 포트와 스위치의 Fa0/1 포트를 연결 ⇨ 라우터의 Fa0/0 포트의 Encapsulation이 IEEE 802.1Q로 설정되어 있어야 함. switch ⇨ PC1은 Fa0/3 포트로 연결, PC1은 VLAN1 네트워크 사용 switch ⇨ PC2는 Fa0/5 포트로 연결, PC2는 VLAN2 네트워크 사용 스위치 설정 먼저 이름과 password를 설정해주었다. VLAN 1의 IP주소를 10.10.10.2, 서브넷마스크를 255.255.255.0 으로 설정해주었다... [네트워크] 9. VLAN 패킷 트레이서 실습 1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VLAN (Virtual LAN) 패킷 트레이서 실습 앞전에서 배운 VLAN을 패킷 트레이서로 실습해본다. 먼저 책에서는 Catalyst 2950 스위치를 사용했다고 해서 나도 그 종류 중 하나인 2950T 스위치로 실습했는데 결과가 뭔가 다르다.. 책이 구버전이라 2023년 패킷트레이서와는 차이점이 있을수도? 되는데까지만 따라해서 이해해보도록 하자. 먼저 config mode에서 vtp ? 를 입력하여 vtp 뒤에 나올 수 있는 옵션을 확인해본다. VTP domain, mode, password, version을 설정할 수 있다고 한다. (책에서는 file, interface, pruning도 있는데 여기선 없다.)..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