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네트워크] 9. VLAN 패킷 트레이서 실습 1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VLAN (Virtual LAN) 패킷 트레이서 실습

 

앞전에서 배운 VLAN을 패킷 트레이서로 실습해본다. 먼저 책에서는 Catalyst 2950 스위치를 사용했다고 해서 나도 그 종류 중 하나인 2950T 스위치로 실습했는데 결과가 뭔가 다르다.. 책이 구버전이라 2023년 패킷트레이서와는 차이점이 있을수도? 되는데까지만 따라해서 이해해보도록 하자.

 

 

 

 

먼저 config mode에서 vtp ? 를 입력하여 vtp 뒤에 나올 수 있는 옵션을 확인해본다.

 

VTP domain, mode, password, version을 설정할 수 있다고 한다. (책에서는 file, interface, pruning도 있는데 여기선 없다.)

 

 

 

 

vtp domain cisco를 입력하여 VTP domain의 이름을 NULL에서 cisco로 변경하였다.

 

 

 

 

맨 위에서 vtp ?를 쳤을 때 mode 옵션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vtp mode ?를 치면 mode에서 가능한 옵션을 출력한다. VLAN 개념에서 배웠던 client, server, transparent를 설정해줄 수 있다.

 

 

 

vtp mode server를 입력하여 해당 스위치를 VTP server로 만들어준다.

 

 

 

 

config mode에서 나간 후 show vpt status를 이용하여 VTP 구성을 살펴본다. 이름은 cisco로, mode는 server로 잘 설정돼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해당 스위치는 VLAN을 255개 만들 수 있다.

 

 


 

트렁크 포트 세팅

Catalyst 2950은 IEEE 802.1Q 방식만 지원한다. 여기서는 Fastethernet 0/1을 trunk로 세팅한다고 가정한다.

 

 

 

int fa 0/1interface fastethernet 0/1의 축약형 명령어이다. 해당 fast ethernet 0/1번에 들어가서 switch port를 확인해보면 'mode'라는 옵션이 존재하고, mode ?를 쳐보면 trunk로 설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runk에 가능한 옵션들을 보면 위와 같다. 책에서는 pruning도 있던데........

 

 

 

 

 

show interface fa0/1 switchport를 이용하여 위에서 trunk로 설정했던 ethernet의 구성을 살펴본다. Administrative mode, operational mode 둘 다 trunk로 잘 설정되어 있다. Operational mode는 스위치를 다른 데 연결해두지 않으면 down으로 뜬다. 또한 Trunking Native mode VLAN : 1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IEEE 802.1Q의 특징을 잘 반영한다.

 

 

 

 

 

VLAN의 설정은 show vlan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아직 VLAN을 아무것도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위에서 보는 것은 놀랍게도 VLAN 디폴트 설정이다. 모든 Ports가 전부 VLAN 1에 속해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Fa0/1은 VLAN에 없다. 어디갔을까? 

 

 

 

 

show int status를 통해 포트의 상태를 간단히 확인해본다. Fa0/1은 trunk로 지정돼있기 때문에 위에서 확인할 수 없던 것이다. (근데 왜 다른 애들도 Vlan trunk로 돼있지?) Duplex, Speed는 미리 설정해준 것이므로 일단 무시한다.

 

 

 

 


 

VLAN 만들기

VLAN을 세팅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1. VLAN을 Config-VLAN 모드에서 세팅하기
  2. VLAN을 VLAN Configuration 모드에서 세팅하기

원래 Catalyst switch는 CatOS라는 명령방식을 사용했다. (라우터에서 주로 사용되는 명령 방식은 IOS인데, CatOS는 이것과는 살짝 다르다.) CatOS를 사용하던 시절에는 VLAN Configuration 모드를 이용하여 VLAN을 구성했다.

 

 

VLAN Configuration 모드에 진입해보자.

 

 

vlan databse를 입력하면 vlan 모드로 진입한다. 하지만 Warning message에서 볼 수 있듯이 config mode에서 vlan 설정하라고 한다. 굳이 vlan database 안치고 config mode에서 VLAN 이름을 입력하면 된다.

 

 

 

 

 

먼저 config mode에 들어간 후, 새로 만들고싶은 VLAN number인 vlan 2를 쳐주고, 이름도 CCNA라고 만들어주었다. 그 후 다시 Switch# 까지 한 번에 나가기 위해 컨트롤+z 입력해줬다.

 

 

 

show vlan을 이용하여 현재 VLAN 구성을 살펴보면 VLAN 2에 CCNA라는 이름의 VLAN이 설정된 것을 볼 수 있다.

 

 

 

생성한 VLAN을 제거하고 싶으면 conf 모드에서 VLAN number 앞에 no만 써주면 된다.

 

 

 

 

이쯤에서 show vpt status를 이용하여 VTP 상태를 점검해본다. Revision number가 맨 처음 0에서 3으로 증가했다. VLAN이 추가, 삭제될 때마다 Revision number가 하나 씩 증가한다. 만약 VTP가 Transparent mode였다면 Revision은 항상 0이다. 증가하지 않는다.

 

 

 

 

이제 VLAN 2를 CCNA라는 이름으로 다시 설정하고 스위치의 Fa0/5 포트를 VLAN 2에 배정해보자.

 

 

어떤 포트(예를 들어 fast ethernet)를 특정 vlan에 배정하고 싶다면 먼저 해당 포트로 이동한 후 (config-if), switchport access 해당vlan을 입력해주면 된다.

 

 

 

VLAN 2에 Fa0/5가 의도대로 잘 설정되어 있다. 사실 show vlan만 입력하면 VLAN type 등의 정보가 길게 나오는데, VLAN 포트설정만 보고싶은 경우 show vlan brief를 입력하면 딱 위의 정보만 출력된다.

 

 

 

 

Fa0/5를 다시 디폴트 값인 VLAN 1로 데려오고 싶으면 fa0/5 설정에 들어간 후 no switchport access vlan 2를 입력해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