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위치
[네트워크] 30. 네트워크 토폴로지 Topology 이 게시물은 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하나의 스위치를 사용한 토폴로지 Bus Topology 스위치 1대를 이용할 때 버스 토폴로지는 위 네트워크처럼 구성된다. 물리적으로는 4개의 라우터 전부가 동시에 연결되어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인접한 라우터들끼리만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했다. 어떻게? VLAN을 이용. 인접한 interface끼리만 서로 같은 VLAN에 넣어주면 된다. 라우터에서 sub-interface를 설정할 때는 각 sub-interface 마다 별도의 VLAN을 지정해주어야 한다. 그래야 해당 VLAN에 속한 sub-interface들끼리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 그리고 그 sub-interface와 연결된 스위치의 port도 트렁크로 동작시켜야 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
[네트워크] 29. VLAN, 트렁킹, VTP 이 게시물은 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VLAN (Virtual LAN) VLAN의 궁극적인 목적은 스위치에 접속된 장비들의 성능 향상 및 보안성 증대이다.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가 있다고 생각해보자. PC나 서버 그리고 라우터 같은 통신 장비들도 ARP를 사용하는데, 바로 직전 게시글에서 배운대로 ARP는 Broadcast 트래픽을 사용한다. 위 네트워크에서 PC1이 PC2의 MAC address를 알아내기 위하여 ARP request를 통해 Broadcast 프레임을 전송하면 SW는 이것을 모든 port로 뿌리게 되고, 관련도 없는 PC이 해당 프레임을 수신하게 되어 트래픽 낭비가 발생한다. 스위치에 접속된 장비들이 많을수록 Broadcast를 더 많이 뿌리게 되어 이를 처리하기 위해 CPU ..
[네트워크] 28. ARP, 트랜스패런트 브리징 이 게시물은 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이더넷 프레임을 만들기 위해서는 출발지 MAC address와 목적지 MAC address가 필요하다. 출발지와 목적지가 통신을 한 번 수행했던 전적이 있으면 출발지는 목적지 MAC address를 알기 때문에 이더넷 프레임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둘이 초면이라면 출발지는 목적지 MAC address를 알 수 없다. 이 경우 이더넷에서 상대방 MAC address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바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이다. ARP 동작을 실습하기 위해 위 같은 네트워크를 구성해보자. Router(config)#host R1 R1(config)#no i..
[네트워크] 27. 텔넷, SSH, 이더넷 프레임, L123 장비들 이 게시물은 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텔넷 (Telnet) 텔넷과 SSH는 원격으로 장비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텔넷은 보안성이 없지만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은 평문이므로 공격자가 내용을 전부 확인할 수 있음) SSH는 메시지가 암호화되어 전송된다는 차이가 있다. 텔넷(Telnet)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원격 접속용 프로토콜이다. 텔넷의 목적을 반드시 알고 넘어가야 한다. = 어떤 한 라우터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라우터에 원격 접속하여 원격으로 구성을 바꾸는 것이 목적이다. R1#telnet 1.1.30.3 Trying 1.1.30.3 ...Open User Access Verification Password: R3> 위 네트워크에서 R1➜R3로 telnet 접속을..
[네트워크] 10. VLAN 패킷 트레이서 실습 2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VLAN (Virtual LAN) 패킷 트레이서 실습 2 목표 스위치 포트 Fa0/1은 트렁크 (트렁크 모드는 IEEE 802.1Q) 라우터의 Fa0/0 포트와 스위치의 Fa0/1 포트를 연결 ⇨ 라우터의 Fa0/0 포트의 Encapsulation이 IEEE 802.1Q로 설정되어 있어야 함. switch ⇨ PC1은 Fa0/3 포트로 연결, PC1은 VLAN1 네트워크 사용 switch ⇨ PC2는 Fa0/5 포트로 연결, PC2는 VLAN2 네트워크 사용 스위치 설정 먼저 이름과 password를 설정해주었다. VLAN 1의 IP주소를 10.10.10.2, 서브넷마스크를 255.255.255.0 으로 설정해주었다...
[네트워크] 7.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STP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STP - 맛보기 앞서 L2 장비인 스위치와 브리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스위치와 브리지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프레임이 전송되는 경로가 원형을 이룬다면 looping이 발생하여 네트워크가 망가진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와 브리지에서는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STP를 반드시 적용하여 사용한다. STP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브리지 ID, Path cost를 이해해보자. Bridge ID는 위처럼 총 8 Bytes 길이이며 맨 앞 16bits는 Bridge Priority, 뒤 48bits는 MAC address로 구성된다. MAC address에다가 2Byte짜리 Bridge Pri..
[네트워크] 4. 브리지, 스위치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브리지 Bridge 스위치의 조상이 브리지이기 때문에 스위치를 이해하기 앞서 브리지에 대해 다루어본다. 허브의 가장 큰 단점을 다시 떠올려보면 Collision domain이 매우 크다는 것이다. (Collision domain을 분할할 수 없다.) 허브를 이용해 구성한 네트워크의 모든 디바이스는 하나의 Collision domain에 속한다. 이 Collision domain을 작게 만들기 위해서는 브리지/스위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브리지를 사용한 후의 Collision domain은 위와 같다. 왼쪽에 있는 두 PC가 서로 통신할 때, 오른쪽에 있는 두 PC도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만약 왼쪽 상단의 PC가 왼쪽 ..
[네트워크] 3. TCP/IP, DHCP, 랜카드, 허브, 스위치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TCP/IP 현대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프로토콜! 이 바로 TCP/IP이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PC는 TCP/IP를 따른다. 1970년대 초반부터 다양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들이 개발되었는데, 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로 TCP/IP이다. 여기서 개념이 좀 헷갈린다. OSI 7계층, TCP/IP 4계층, TCP/IP 프로토콜? OSI 7 Layer : 전체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7단계로 분할하여 설명하는 것. 각 단계마다의 역할이 있다. TCP/IP 4 Layer : TCP/IP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네 개의 계층으로 분류한 것. (각 계층마다 어떤 프로토콜이 사용되는지를 나타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