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thumbnail list [네트워크] 8. VLAN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VLAN (Virtual LAN); 가상 랜 VLAN은 현재 스위치의 기능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아주 중요한 개념이다. 스위치의 등장 배경은 바로 Collision domain을 분할해 줄 무언가가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스위치는 Broadcast domain을 나눠줄 수는 없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드시 Router를 연결해야만 했다. Router를 사용하지 않고도 Broadcast domain을 효율적으로 나누기 위해 VLAN이 개발되었다. VLAN은 Broadcast domain을 물리적이 아닌, 논리적으로 나눈다. 따라서 서로 물리적으로 다른 공간에 있는 device들도 VLAN을 통해 논리.. [네트워크] 7.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STP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STP - 맛보기 앞서 L2 장비인 스위치와 브리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스위치와 브리지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프레임이 전송되는 경로가 원형을 이룬다면 looping이 발생하여 네트워크가 망가진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와 브리지에서는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STP를 반드시 적용하여 사용한다. STP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브리지 ID, Path cost를 이해해보자. Bridge ID는 위처럼 총 8 Bytes 길이이며 맨 앞 16bits는 Bridge Priority, 뒤 48bits는 MAC address로 구성된다. MAC address에다가 2Byte짜리 Bridge Pri.. [네트워크] 6. 서브넷 마스크, 서브네팅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서브넷 마스크 Subnet Mask - 무엇인가? class B 네트워크를 배정받았다고 생각해보자. class B는 네트워크 당 호스트 수가 65,534개로, 이를 그대로 사용하면 Broadcast domain이 상당히 커 실제 상황에서 이를 그냥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6.5만개 호스트가 전부 같은 broadcast domain에 속한다고 생각해보라!) → 네트워크를 작게 쪼개주는 subnetting이 필요 예를 들어 class B 네트워크 150.150.0.0을 서브네팅 한다면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0.0에서 255.255.255.0이 되고, 150.150.1.0, 150.150.2.0 ... 으로 .. [네트워크] 5. IP, Class A B C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IP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network device는 각자의 고유 주소인 IP가 존재한다. (TCP/IP에서 IP를 사용하는데 우리는 전부 TCP/IP를 따르는 디바이스만 사용한다.) IPv4를 기준으로 IP 주소는 32자리의 이진수로 구성되어 있다.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부터 1111 1111. 1111 1111. 1111 1111. 1111 1111 까지 IPv4의 전체 주소 개수는 약 2의 32승개로 대략 42억 9000개이다. 하지만 이것도 부족하여 현재는 IPv6가 개발되었다. IP 주소는 기본적으로 이진수로 표현되는데 이를 일반인이 이해하기는 어려우므.. [네트워크] 4. 브리지, 스위치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브리지 Bridge 스위치의 조상이 브리지이기 때문에 스위치를 이해하기 앞서 브리지에 대해 다루어본다. 허브의 가장 큰 단점을 다시 떠올려보면 Collision domain이 매우 크다는 것이다. (Collision domain을 분할할 수 없다.) 허브를 이용해 구성한 네트워크의 모든 디바이스는 하나의 Collision domain에 속한다. 이 Collision domain을 작게 만들기 위해서는 브리지/스위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브리지를 사용한 후의 Collision domain은 위와 같다. 왼쪽에 있는 두 PC가 서로 통신할 때, 오른쪽에 있는 두 PC도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만약 왼쪽 상단의 PC가 왼쪽 .. [네트워크] 3. TCP/IP, DHCP, 랜카드, 허브, 스위치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TCP/IP 현대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프로토콜! 이 바로 TCP/IP이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PC는 TCP/IP를 따른다. 1970년대 초반부터 다양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들이 개발되었는데, 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로 TCP/IP이다. 여기서 개념이 좀 헷갈린다. OSI 7계층, TCP/IP 4계층, TCP/IP 프로토콜? OSI 7 Layer : 전체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7단계로 분할하여 설명하는 것. 각 단계마다의 역할이 있다. TCP/IP 4 Layer : TCP/IP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네 개의 계층으로 분류한 것. (각 계층마다 어떤 프로토콜이 사용되는지를 나타냄) .. [네트워크] 2. MAC, 브로드캐스트, OSI 7계층, 프로토콜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맥 어드레스 MAC adress MAC adress를 알기 전에 먼저 MAC이 뭘까? MAC : Media Access Control → 한국말로는 '매체 접근 제어'라고 불린다. 네트워크 장치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통신 매체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디바이스가 하나의 channel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우리가 사용하는 회선은 일반적으로 여러 디바이스가 동시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한 번에 한 디바이스만 Channel을 점유할 수 있는데, 위처럼 디바이스가 여러 개인 경우 어떤 디바이스가 channel을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는 방식을 바로 Medium Access .. [네트워크] 1. 네트워크 개요 이 게시물은 후니의 쉽게 쓴 CISCO 네트워킹 4판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기본 용어 네트워크 (Network) : Net 그물 + Work = 그물처럼 연결되어있는 망을 의미. 현대의 IT 기기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선으로 표현하면 그물망 형태가 된다. 프로토콜 (Protocol) : 네트워크 안의 두 디바이스가 통신할 때의 규칙. 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이는 곧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통신이 불가능하다. → 따라서 우리는 하나의 프로토콜 TCP/IP 만을 사용한다. 인터넷 (Internet) : 여기서 Inter는 '연결'을 의미함. 예를 들어 인터폴 (Interpol)은 국제경찰으로, 각 나라의 경찰들을 묶은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