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시물은 <킹 오브 네트워킹 (피터전)>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RIPv2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은 Dynamic routing protocol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고리즘이 매우 간단하고 설정도 쉽다. 하지만 그만큼 취약점이 많아 RIPv2가 개발되었고, 그에 따라 RIPv1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RIPv2는 최적경로 계산을 위해 리처드 벨만 Richard Bellman과 레스터 포드 주니어 Lester Ford, Jr가 만든 벨만 포드 Bellman-Ford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알잘딱 구성을 해주고...
R1#show ip route
Gateway of last resort is not set
1.0.0.0/8 is variably subnetted, 4 subnets, 2 masks
C 1.1.10.0/24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0
L 1.1.10.1/32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0
C 1.1.12.0/24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1
L 1.1.12.1/32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1
RIPv2를 적용하기 전 R1에서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위와 같다. 자신과 직접 연결된 두 interface에서의 결과만 출력된다.
R1(config)#router rip
R1(config-router)#version 2
R1(config-router)#network 1.0.0.0
RIPv2를 적용하는 명령어는 위와 같다. 이 명령어를 R1,2,3 세 라우터에 전부 수행해준다.
R1#show ip route
Gateway of last resort is not set
1.0.0.0/8 is variably subnetted, 6 subnets, 2 masks
C 1.1.10.0/24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0
L 1.1.10.1/32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0
C 1.1.12.0/24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1
L 1.1.12.1/32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1
R 1.1.23.0/24 [120/1] via 1.1.12.2, 00:00:18, GigabitEthernet0/1
R 1.1.30.0/24 [120/2] via 1.1.12.2, 00:00:04, GigabitEthernet0/1
RIPv2를 적용한 후 R1에서 라우팅 테이블을 다시 출력해보면 위와 같다. 맨 아래 두 줄이 RIPv2를 통해 새로 알게된 두 네트워크의 경로이다.
R1#ping 1.1.30.3
Type escape sequence to abort.
Sending 5, 100-byte ICMP Echos to 1.1.30.3, timeout is 2 seconds:
!!!!!
Success rate is 100 percent (5/5), round-trip min/avg/max = 0/0/1 ms
R1에서 R3의 오른쪽 interface에 ping도 가능하다.
RIPv2 정보 전송방식
출발지 IP | 목적지 IP | 프로토콜 | 출발지 포트 | 목적지 포트 | 라우팅 정보 |
1.1.123.1 | 224.0.0.9 | 17 (UDP) | 520 | 520 | 1.1.1.0/24, hop count = 1... |
RIPv2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할 때 라우팅 정보는 위와 같은 format으로 구성된다.
- 출발지 IP address는 라우팅 정보를 전송하는 interface의 IP 주소이다.
- 목적지 IP address는 multicast IP address인 224.0.0.9를 사용한다. (미리 지정된 주소)
- RIP는 UDP를 이용하여 network 정보를 전송한다.
- RIP는 출발지 UDP 포트번호 520을 사용한다.
- RIP는 목적지 UDP 포트번호도 520을 사용한다.
- 목적지 network, subnet mask 길이, Hop count 등 라우팅 네트워크 정보를 segment 내부에 실어 보낸다.
R1#debug ip rip
RIP protocol debugging is on
R1#RIP: sending v2 update to 224.0.0.9 via GigabitEthernet0/1 (1.1.12.1)
RIP: build update entries
1.1.10.0/24 via 0.0.0.0, metric 1, tag 0
RIP: sending v2 update to 224.0.0.9 via GigabitEthernet0/0 (1.1.10.1)
RIP: build update entries
1.1.12.0/24 via 0.0.0.0, metric 1, tag 0
1.1.23.0/24 via 0.0.0.0, metric 2, tag 0
1.1.30.0/24 via 0.0.0.0, metric 3, tag 0
RIP: received v2 update from 1.1.12.2 on GigabitEthernet0/1
1.1.23.0/24 via 0.0.0.0 in 1 hops
1.1.30.0/24 via 0.0.0.0 in 2 hops
RIP: sending v2 update to 224.0.0.9 via GigabitEthernet0/1 (1.1.12.1)
RIP: build update entries
1.1.10.0/24 via 0.0.0.0, metric 1, tag 0
RIP: sending v2 update to 224.0.0.9 via GigabitEthernet0/0 (1.1.10.1)
RIP: build update entries
1.1.12.0/24 via 0.0.0.0, metric 1, tag 0
1.1.23.0/24 via 0.0.0.0, metric 2, tag 0
1.1.30.0/24 via 0.0.0.0, metric 3, tag 0
debug ip rip 명령어를 이용하여 라우팅 정보를 디버깅한 결과이다. 디버깅을 수행하면 라우터 간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로그를 출력하여 보여준다.
EIGRP (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EIGRP는 Cisco에서 개발한 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RIP처럼 Split horizon이 적용되며, 주 네트워크 경계에서 자동 축약된다. 또한 RIP이나 OSPF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unequal cost 부하 분산을 지원하여 metric 값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경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EIGPR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backup route의 BW까지 사용할 수 있어 링크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하지만 표준 라우팅 프로토콜이 아니므로 Cisco 장비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위 같은 네트워크를 구성해보자. 세 개의 라우터 R1,2,3의 설정은 다음과 같다.
① R1
R1(config)#interface G0/1
R1(config-if)#ip address 1.1.10.1 255.255.255.0
R1(config-if)#no shut
R1(config-if)#interface s0/3/0
R1(config-if)#ip address 1.1.12.1 255.255.255.0
R1(config-if)#no shut
R1(config-if)#interface g0/0
R1(config-if)#ip address 1.1.13.1 255.255.255.0
R1(config-if)#no shut
② R2
R2(config)#interface s0/3/0
R2(config-if)#ip address 1.1.12.2 255.255.255.0
R2(config-if)#no shut
R2(config-if)#interface s0/3/0
R2(config-if)#ip address 1.1.23.2 255.255.255.0
R2(config-if)#no shut
R2(config-if)#interface g0/1
R2(config-if)#ip address 1.1.20.2 255.255.255.0
R2(config-if)#no shut
③ R3
R3(config)#interface g0/0
R3(config-if)#ip address 1.1.13.3 255.255.255.0
R3(config-if)#no shut
R3(config-if)#interface g0/1
R3(config-if)#ip address 1.1.30.3 255.255.255.0
R3(config-if)#no shut
R3(config-if)#interface s0/3/1
R3(config-if)#ip address 1.1.23.3 255.255.255.0
R3(config-if)#no shut
딱 IP 설정만 해주었다. SW1, SW2의 설정은 다음과 같다.
SW1
SW1(config)#vlan 13
SW1(config)#interface range f0/1-2
SW1(config-if-range)#switchport mode access
SW1(config-if-range)#switchport access vlan 13
SW2
SW2(config)#vlan 10
SW2(config-vlan)#vlan 20
SW2(config-vlan)#vlan 30
SW2(config-vlan)#exit
SW2(config)#interface f0/1
SW2(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2(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10
SW2(config-if)#exit
SW2(config)#interface f0/2
SW2(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2(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20
SW2(config-if)#exit
SW2(config)#interface f0/3
SW2(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2(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30
위 설정의 의미는 단순하다. SW1과 연결된 두 port를 VLAN 13이라는 하나의 네트워크로 설정한다는 것이다. SW3과 연결된 세 포트는 각각 VLAN 10, 20, 30이라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로 설정했다.
R1#show ip route
Gateway of last resort is not set
1.0.0.0/8 is variably subnetted, 6 subnets, 2 masks
C 1.1.10.0/24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1
L 1.1.10.1/32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1
C 1.1.12.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3/0
L 1.1.12.1/32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3/0
C 1.1.13.0/24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0
L 1.1.13.1/32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0
라우팅 프로토콜을 설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면 해당 라우터와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들만 출력된다. 반대로 말하면, 라우팅 프로토콜을 설정하지 않으면 해당 라우터는 자신과 직접 연결된 주소 말고는 아무것도 알 수 없다.
이제 EIGRP 라우팅 프로토콜 설정을 적용해보자.
R1(config)#router eigrp 1
R1(config-router)#network 1.1.10.1 0.0.0.0
R1(config-router)#network 1.1.12.1 0.0.0.0
R1(config-router)#network 1.1.13.1 0.0.0.0
R2(config)#router eigrp 1
R2(config-router)#network 1.1.12.2 0.0.0.0
R2(config-router)#network 1.1.20.2 0.0.0.0
R2(config-router)#network 1.1.23.2 0.0.0.0
R3(config)#router eigrp 1
R3(config-router)#network 1.1.13.3 0.0.0.0
R3(config-router)#network 1.1.23.3 0.0.0.0
R3(config-router)#network 1.1.30.3 0.0.0.0
R1(config)#router eigrp 1 ➜ 뒤에 오는 숫자는 1-65535 사이의 AS 번호이다. EIGRP를 동작시킬 모든 라우터에서 동일한 AS 번호를 사용해야 한다. AS 번호가 다른 라우터들끼리는 서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지 않는다.
그 후 각 라우터에서 자신과 연결된 interface들의 IP + wildcard address 0.0.0.0를 입력하여 EIGRP를 작동시킬 interface를 지정한다.
EIGRP를 설정한 후 R1의 라우팅 테이블을 출력해보면 다음과 같다.
R1#show ip route eigrp
1.0.0.0/8 is variably subnetted, 9 subnets, 2 masks
D 1.1.20.0/24 [90/2172416] via 1.1.12.2, 00:05:00, Serial0/3/0
D 1.1.23.0/24 [90/2172416] via 1.1.13.3, 00:04:33, GigabitEthernet0/0
D 1.1.30.0/24 [90/7680] via 1.1.13.3, 00:04:26, GigabitEthernet0/0
존재하는 모든 네트워크들이 R1의 라우팅 테이블에 담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앞의 D의 의미는 해당 경로를 EIGRP를 통하여 광고받은 것임을 의미한다.
EIGRP neighbor
RIP는 라우팅 프로세스에 포함된 인터페이스들로 무조건 30초마다 한 번씩 라우팅 테이블을 전송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이후 개발된 라우팅 프로토콜들은 자신의 라우팅 정보를 전송하기에 앞서 상대 라우터와 neighbor 관계를 맺은 후에 전송한다. Neighbor 관계가 아닌 라우터에는 라우팅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EIGRP는 라우팅 프로세스에 포함된 interface들로 Hello packet을 전송한다. 인접 라우터가 이를 수신하면 해당 packet에 포함된 정보 중 AS number, interface의 subnet mask length, 암호 그리고 K 상수 값이 자신의 것과 동일하면 Hello packet을 보낸 라우터를 neighbor로 간주하고 자신의 라우팅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K 상수는 EIGRP가 metric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값으로, 미리 지정돼있다.
R1#show ip eigrp neighbors
IP-EIGRP neighbors for process 1
H Address Interface Hold Uptime SRTT RTO Q Seq
(sec) (ms) Cnt Num
0 1.1.12.2 Se0/3/0 14 00:13:53 40 1000 0 11
1 1.1.13.3 Gig0/0 10 00:13:21 40 1000 0 15
R1의 이웃들은 위와 같다. 30초 주기로 라우팅 정보를 전송하는 RIP와는 달리, EIGRP에서는 트래픽 낭비를 줄이기 위해 맨 처음 neighbor 관계를 맺었을 때, 그리고 네트워크에 변경된 사항이 있을 때만 라우팅 정보를 광고한다. 따라서 광고할 내용이 없을때는, 즉 정상적인 경우에는 Hello packet만 교환하여 자신이 동작중이라는 것만 알린다.
EIGRP는 네트워크 종류에 따라 5초~60초마다 Hello packet을 인근 라우터에게 전송한다. 연속 3회 동안 hello packet을 수신하지 못하면 neighbor 관계가 끊기게 되며, hello packet이 Hold time 이내에 수신되지 못하는 경우 카운트가 올라간다.
EIGRP metric
EIGRP는 기본적으로 metric 계산을 위해 목적지 방향 interface의 BW, delay 값을 사용한다.
R1#show interface g0/0
GigabitEthernet0/0 is up, line protocol is up (connected)
Hardware is CN Gigabit Ethernet, address is 00e0.f943.4c01 (bia 00e0.f943.4c01)
Internet address is 1.1.13.1/24
MTU 1500 bytes, BW 1000000 Kbit, DLY 100 usec,
reliability 255/255, txload 1/255, rxload 1/255
R1과 연결되어 있는 interface g0/0의 정보를 출력한 결과이다. Ethernet interface의 BW는 1,000,000kbps (1Gbps)이고, delay는 100usec이다.
R1#show interface s0/3/0
Serial0/3/0 is up, line protocol is up (connected)
Hardware is HD64570
Internet address is 1.1.12.1/24
MTU 1500 bytes, BW 1544 Kbit, DLY 20000 usec,
reliability 255/255, txload 1/255, rxload 1/255
이번에는 Serial interface의 정보이다. BW는 1,544kbps이고, delay는 20,000us이다. 서로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동작하는 ethernet interface는 굉장히 빠른 반면,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serial interface는 전송속도가 비교적 느리며 delay가 큰 모습을 보여준다.
이제 위 네트워크에서 EIGRP BW, delay를 실제로 계산해보자. 여기서는 R1 ➜ 1.1.20.2/24 네트워크로 향하는 경로에 대해 계산한다. 이때 각 interface의 BW, delay 스펙은 아래와 같다.
- R1 ➜ R3 | Etherent | BW: 1Gbps | delay : 100usec
- R2 ➜ R3 | Serial | BW: 1,544Kbps | delay : 20,000usec
- R2 ➜ SW2 | Ethernet | BW: 1Gbps | delay : 100usec
EIGRP에서 BW metric을 계산할 때는 각 라우터에서 목적지 방향 interface에 설정된 BW 중 가장 느린 것으로 107으로 나눈다.
➜ 107/1544 = 6476 (소수는 버린다.)
Delay는 목적지 방향에 존재하는 interface들의 delay를 모두 합친 뒤 10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 (100+20000+100)/10 = 2020
최종적으로 BW metric과 Delay metric을 더한 값에 256을 곱하면 EIGRP metric이 얻어진다.
➜ (6476 + 2020) * 256 = 2174976
R1#show ip route
Gateway of last resort is not set
1.0.0.0/8 is variably subnetted, 9 subnets, 2 masks
C 1.1.10.0/24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1
L 1.1.10.1/32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1
C 1.1.12.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3/0
L 1.1.12.1/32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3/0
C 1.1.13.0/24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0
L 1.1.13.1/32 is directly connected, GigabitEthernet0/0
D 1.1.20.0/24 [90/2172416] via 1.1.12.2, 00:59:12, Serial0/3/0
D 1.1.23.0/24 [90/2172416] via 1.1.13.3, 00:58:45, GigabitEthernet0/0
D 1.1.30.0/24 [90/7680] via 1.1.13.3, 00:58:38, GigabitEthernet0/0
R1의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해보면 실제로 1.1.20.0/24 network에 대하여 metric 값 2174976을 갖는다!
EIGRP DUAL
EIGRP에서 최적 경로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알고리즘을 DUAL(Diffusing Update Algorithm)이라고 한다. DUAL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 Feasible Distance (FD) : 현재 라우터(R1)에서 특정 목적지 네트워크(여기서는 1.1.20.0/24)까지의 최적 metric
- Succesor : 최적 경로상의 next hop router. R1에서 R2의 1.1.20.0/24 network로 향하는 경로에서의 succesor는 1.1.12.2 이다.
- Reported Distance (RD) : Next hop router에서 목적지 network까지의 metric 값. 이를 Advertised distance라고도 한다.
- Feasible Succesor : Succesor가 아닌 라우터 중에서 FD > RD 조건을 만족하는 next hop router. 만약 Succesor가 down되는 경우에 feasible succesor가 역할을 이어받아 패킷을 전송한다.
- Topology table : 인접 라우터로부터 수신한 network와 그 network의 metric 정보를 저장하는 Databast를 의미한다. 라우터에서 EIGRP topology table을 보는 명령어는 show ip eigrp topology이다.
R1#show ip eigrp topology all-links
IP-EIGRP Topology Table for AS 1/ID(1.1.13.1)
Codes: P - Passive, A - Active, U - Update, Q - Query, R - Reply,
r - Reply status
P 1.1.10.0/24, 1 successors, FD is 5120
via Connected, GigabitEthernet0/1
P 1.1.12.0/24, 1 successors, FD is 2169856
via Connected, Serial0/3/0
P 1.1.13.0/24, 1 successors, FD is 5120
via Connected, GigabitEthernet0/0
P 1.1.20.0/24, 1 successors, FD is 2172416
via 1.1.12.2 (2172416/5120), Serial0/3/0
P 1.1.23.0/24, 1 successors, FD is 2172416
via 1.1.13.3 (2172416/2169856), GigabitEthernet0/0
via 1.1.12.2 (2681856/2169856), Serial0/3/0
P 1.1.30.0/24, 1 successors, FD is 7680
via 1.1.13.3 (7680/5120), GigabitEthernet0/0
R1의 Topology를 출력한 결과이다.
P 1.1.23.0/24, 1 successors, FD is 2172416
① via 1.1.13.3 (2172416/2169856), GigabitEthernet0/0
② via 1.1.12.2 (2681856/2169856), Serial0/3/0
에서 ①의 2172416는 R1에서 1.1.23.0/24 네트워크까지의 FD이다. 또한, via 1.1.13.3는 Succesor의 IP 주소이다.
②의 2169856는 next hop IP 1.1.12.2가 광고한 RD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FD>RD 이므로 1.1.12.2는 feasible succesor가 된다.
EIGRP UCLB
UCLB(Unequal Cost Load Balancing)은 한국말로 Unequal 코스트 부하 분산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EIGRP는 RIP, OSPF, IS-IS 처럼 load balancing을 지원한다. 하지만 EIGRP의 UCLB는 다른 IGP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메트릭 값이 다른 경로에 대한 부하 분산'이다.)
UCLB가 가능할 조건은 다음과 같다.
- Feasible succesor를 통하는 경로여야 한다. = FD>RD인 경로여야 한다.
- load balancing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로의 metric 값이 FD*variance 값보다 작아야 한다.
위 그림에서 R1 ➜ R2로 향할 때, 위쪽 경로는 feasible distance = 2,172,416이고 아래쪽 경로는 distance = 2,174,720 이라고 해보자. 이때 variance=2로 설정하면 아래쪽 경로의 distance 값은 FD*2보다 작아지게 되어 해당 경로에 UCLB이 가능해진다.
R1(config)#router eigrp 1
R1(config-router)#variance 2
부하분산은 위 명령어를 통해 수행된다.
EIGRP 보안
위 그림에서 SW1에 연결된 PC가 위 EIGRP network를 해킹하는 예시를 들어보자. PC에서 와이어샤크와 같은 패킷 캡처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R1, R3이 전송하는 EIGRP 패킷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EIGRP AS number도 알 수 있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해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C에서 EIGRP Hello packet을 만들어 전송하면 PC와 R1,R3가 이웃을 맺을 수 있다.
이때 PC에서 1.1.20.0/25, 1.1.20.128/25처럼 1.1.20.0/24보다 더 상세한 network 주소를 광고하면 R1,R2,R3에서 1.1.20.2/24로 향하는 패킷들은 전부 PC로 라우팅되어 네트워크가 해킹된다.
이러한 참사를 예방하기 위해, R1-R3간 송수신되는 EIGRP hello packet에 인증 Authentication 과정이 필요하다. 사전에 두 라우터에서 암호를 지정하고, Hello packet을 주고받을 때 이 암호도 같이 보낸다. Hello packet을 받았을 때 그 암호가 자신의 것과 같으면 이웃을 맺고, 암호가 없거나 틀리면 이웃을 맺지 않는다.
R1에서 인증암호를 설정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1 R1(config)#key chain MyKey
2 R1(config-keychain)#key 1
3 R1(config-keychain-key)#key-string cisco
R1(config-keychain-key)#exit
R1(config-keychain)#exit
4 R1(config)#interface g0/0
5 R1(config-if)#ip authentication key-chain eigrp 1 Mykey
6 R1(config-if)#ip authentication mode eigrp 1 md5
- key chain 명령어 뒤에 적당한 key 이름을 지정해준다. key 이름은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 key number를 1~21억 사이의 아무 숫자로 지정해준다. key number는 이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해야 한다.
- key-string 명령어를 이용하여 암호를 설정한다. 암호 역시 이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 이웃과 연결되는 interface의 설정모드로 들어간다.
- 위에서 만들어 둔 key chain을 해당 interface에 적용한다.
- 인증 방식을 MD5로 지정하였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EIGRP 패킷 인증이 작동하지 않는다.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과는 달리 EIGRP에서는 MD5만 사용하는데, 이 방식의 경우 실제 암호는 전송되지 않고 암호를 이용하여 만든 코드만 보내어 보안성이 뛰어나다.
R3도 인증암호를 지정해준다.
R3(config)#key chain EigrpKey
R3(config-keychain)#key 1
R3(config-keychain-key)#key-string cisco
R3(config)#interface g0/0
R3(config-if)#ip authentication key-chain eigrp 1 Eigrp
R3(config-if)#ip authentication mode eigrp 1 md5
이제 R1에서 debug eigrp packets 명령어를 이용하여 Hello packet들이 어떻게 전송되고 있는지 확인해본다.
R1#debug eigrp packets
EIGRP Packets debugging is on
(UPDATE, REQUEST, QUERY, REPLY, HELLO, ACK )
R1#
EIGRP: Sending HELLO on Serial0/3/0
AS 1, Flags 0x0, Seq 24/0 idbQ 0/0 iidbQ un/rely 0/0
EIGRP: Sending HELLO on GigabitEthernet0/1
AS 1, Flags 0x0, Seq 24/0 idbQ 0/0 iidbQ un/rely 0/0
EIGRP: Sending HELLO on GigabitEthernet0/0
AS 1, Flags 0x0, Seq 24/0 idbQ 0/0 iidbQ un/rely 0/0
EIGRP: Received packet with MD5 authentication, key id = 1
EIGRP: Received HELLO on GigabitEthernet0/0 nbr 1.1.13.3
AS 1, Flags 0x0, Seq 120/0 idbQ 0/0
EIGRP: Received HELLO on Serial0/3/0 nbr 1.1.12.2
AS 1, Flags 0x0, Seq 21/0 idbQ 0/0
암호를 설정해준 g0/0 interface에 대해서 MD5 authentication이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35. BGP (eBGP) (2) | 2024.01.15 |
---|---|
[네트워크] 34.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0) | 2024.01.15 |
[네트워크] 32. 정적 경로 라우팅, 루프백 인터페이스, 디폴트 루트 (1) | 2024.01.14 |
[네트워크] 31. 라우팅 프로토콜 (0) | 2024.01.14 |
[네트워크] 30. 네트워크 토폴로지 Topology (0) | 2024.01.12 |